학생등록 |  학생가입 
첫페지로 손전화홈페지열람기
사람이 사회적존재라는것은 사람의 본질적특성해명의 출발점​

사람이 사회적존재라는것은 사람의 본질적특성에 대한 주체적해명의 출발점이다.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사람의 사회적속성은 사회적존재로서의 사람의 발생과 발전과정 다시말하여 사람의 사회적활동과 사회적관계의 력사적발전과정을 통하여서만 형성발전될수 있습니다. 사회의 발전력사가 사람의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의 발전력사라고 하는것은 곧 사람의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이 사회력사적으로 형성발전되는 사회적속성이라는것을 말하여주는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에 대한 철학적고찰에서는 어디까지나 사람이 사회적존재라는데로부터 출발하여야 합니다.》

 

 

사람의 본질적특성이란 다른 물질적존재들과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사람의 고유한 특성을 말한다.

사람의 본질적특성에 대한 해명은 사람을 어떤 존재로 보는가에 의하여 그 결과가 근본적으로 달라진다.

사람을 자연적, 생물학적존재로 본다면 사람의 본성을 자연적, 생물학적속성에서 찾게 된다. 이러한 견지에서는 사람과 다른 물질적존재와의 공통성은 밝힐수 있지만 그와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사람의 본질적특성은 밝힐수 없다. 지난 시기 많은 철학들에서 사람의 본성을 자연적, 생물학적속성에서 찾은것은 바로 사람을 단순히 자연적, 생물학적존재로 보았기때문이다.

 

   심화시킬 문제; 사람을 단순한 자연적, 생물학적존재로 보는 관점의 부정적후과는 무엇인가.

사람을 하나의 생물유기체로 보는 경우 자연적, 생물학적속성에 대하여 론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적연구는 사람만이 가지게 되는 사회적특성의 고유한 측면을 밝힐수 없을뿐만아니라 다른 생물학적존재에게서 나타나는 속성을 사람에게 적용하여 자연적, 생물학적관계를 사회적관계와 혼탁시키게 된다. 이것은 철학적으로 사람과 다른 생물학적존재와의 차이를 모호하게 만들고 사람의 지위와 역할을 제대로 밝힐수 없게 하는 비과학적인 관점이며 사회적으로는 자연적, 생물학적관계에서 나타나는 약육강식, 적자생존과 같은 비인간적인 관계를 합리화하는 반동적인 관점이다.

 

사람은 다른 모든 물질적존재들과는 달리 사회적관계를 맺고 사회적집단속에서 살며 활동하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회적존재이며 사람의 본질적특성은 어디까지나 사회적존재로서 가지는 특성이다.

 

사람은 순수 정신적존재도, 단순한 생물학적존재도 아니다. 사람은 사회적관계를 맺고 살며 활동하는 사회적존재이다. 사회적존재라는데 다른 생물학적존재와 구별되는 사람의 중요한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의 본질적특성을 옳바로 해명하자면 사람이 사회적존재라는데로 출발하여야 한다.

 

 

facebook로 보내기
twitter로 보내기
cyworld
Reddit로 보내기
linkedin로 보내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