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등록 |  학생가입 
첫페지로 손전화홈페지열람기

강희맹과 시 《백두산》의 사상예술적특성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지난 시대의 작가와 작품을 문학사나 예술사에서 취급하는 목적은 어디까지나 작가, 예술인들과 자라나는 새 세대들에게 우리 문학사와 예술사에도 당대 문학예술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작가와 작품이 있었다는것을 알려줌으로써 민족적긍지와 자부심을 안겨주는 동시에 지난날의 력사에서 경험과 교훈을 찾게 하자는데 있다.》

력사의 갈피속에 파묻혀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작품들을 새롭게 발굴하고 그 문학사적의의를 공정하게 평가하는것은 중세문학사연구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강희맹(1424~1483)은 당대의 시대적현실을 진실하게 반영한 시작품들을 적지 않게 창작하였으나 지금까지 그의 작품들은 《농구》를 비롯한 일련의 작품들을 제외하고는 거의나 알려지지 못하였다.

15세기 후반기에 조선봉건왕조의 고위관료로, 문장가로, 농학자로 활동한 강희맹의 자는 경순, 호는 사숙재 또는 농문거사였다.

강희맹의 가문은 대대로 글을 잘 지어 이름났다.

강희맹은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좋아하고 한번 본것은 그대로 기억하여 총명하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강희맹은 글짓기에 특별한 재간이 있어 여러가지 일화들을 남겼는데 한번은 그가 12살나는 해에 길가던 어떤 선비가 절에서 글공부하는 그를 보고 절간앞의 고목을 주제로 하여 시를 짓게 한적이 있었다. 이때 그는 대번에 《한그루의 고목 봄바람 맞으며/ 심산에 피여오르는 아지랑이속에 홀로 서있네/ 해마다 생각하리 꽃은 비온 후에/ 떨어진 가지 몇이고 남은 가지 몇일가》 라는 7언절구로 된 시를 지어 읊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사숙재집》 행장)

 

백두산의 웅장하고 장쾌한 모습을 노래한 시 《백두산》은 조국산천의 아름다움을 주로 한 강희맹의 시작품들가운데서 대표작이라고 할수 있는 작품이다.

작품은 5언고시형식으로서 《사숙재집》의 제1책 제1권에 수록되여있다.

 

46구 230자로 되여있는 이 시에서 강희맹은 백두산의 장엄하고 웅장한 자태, 자연이 이루어놓은 신비로운 경치, 백두산의 변화무쌍한 조화, 이 나라 강들의 시원인 천지의 절경 등을 시적으로 잘 보여주었다.

 

○ 강희맹은 작품의 첫 부분에서 백두산의 웅장한 자태를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내 들었노라 이 나라 북변에

                                                뭇산들이 높이 솟아있다는것을

                                                백두산의 산세는 유독 제일 높은데

                                                아슬하게 높이 솟아 하늘을 뻗쳤네

 

시인은 나라의 북변에 있는 수많은 산들가운데서 유난히 우뚝 솟은 백두산의 웅장한 자태에 대하여 하늘을 뻗치고섰다고 하였다.

시는 짤막한 시구속에 뭇산들을 지지누르며 우뚝 솟은 백두산의 장엄한 모습을 잘 형상하였다고 할수 있다.

○ 강희맹은 작품의 다음부분에서 백두산의 신묘한 경치에 대하여 노래하였다.

 

                                                날이 개여 머리를 들어보니

                                                얼음과 서리는 옥을 다듬은듯 기묘하네

                                                서로 쌓여 뿌리는 빛은

                                                천리안에 가득차니

                                                구름이 하늘을 가리워도

                                                흰빛은 여전히 한 모양이네

                                                봄꽃 피여 메부리를 뒤덮으니

                                                구슬뺨은 주은과 같아라

                                                밝은 달이 높은 산 비치니

                                                겨울에 련꽃이 핀것 같고

                                                붉은 태양 두터운 땅을 비치여

                                                눈이 쌓인 수림속에 깃드네

                                                어찌 알았으랴 오악밖에

                                                이런 숭엄한 메부리 있는줄을

 

시의 이 부분에서는 신비로운 백두산의 경치를 시적인 형상으로 구체적으로 펼쳐보였다.

눈과 얼음, 서리로 뒤덮인 백두산의 모습은 물론 구름이 덮여 하늘이 흐려도 변함이 없고 산마루에 떠오르는 달, 눈덮인 밀림도 시적으로 생동하게 펼쳐보이였다.

봉건통치배들이 사대주의에 물젖어 보지도 못한 다른 나라의 《오악》만을 산의 아름다움의 극치로 여기면서 숭상하던 시기에 백두산의 신비한 절경을 이 다섯개 산의 경치를 모두 합친것보다 더 월등하게 노래한것은 당시의 시대적환경에서 볼 때 아주 긍정적이였다고 할수 있다.

○ 강희맹은 계속하여 시에서 백두산천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신령스러운 못이 산정에 있어

                                                푸른 기슭을 적시는데

                                                하늘은 어둠속에 잠겨 몰래 준비했는가

                                                눈이 번쩍 부시더니 큰 우뢰가 운다

                                                물결은 갈라져 여러 길로 나뉘여

                                                사품치며 흘러서 여울을 만들고

                                                여울은 평탄하게 강을 이루며

                                                변방을 흘러 지경을 감싸네

 

이 부분에서 시인은 변화무쌍한 조화를 부리는 신비한 천지, 이 나라 북변을 감돌아 흐르는 장강의 시원인 천지의 모습을 시적인 묘사로 형상화하였다. 즉 잠잠하던 하늘이 어두워지고 큰 우뢰가 우는것과 같은 신비한 천지의 조화, 천지에 시원을 둔 강들의 형성과정과 나라의 국경을 감돌아흐르는 모양을 시적으로 노래하였다.

○ 시의 다음부분에서는 백두산일대의 험준한 지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장쾌하구나 장백산이여

                                                나라 위해 험난한 지세 이루었으니

                                                산은 련련히 뻗어내려

                                                여러 산맥은 서로 이어졌고

                                                하늘이 만든 준엄한 지세로

                                                나라의 관문은 금성탕지로 되였네

                                                정예한 군사로 요해처를 지키니

                                                간사한 오랑캐도 막아낼수 있으리

                                                어찌하여 장성을 쌓았는가

                                                백리안팎을 빙 둘렀네

 

시인은 시에서 험준한 산맥들이 련련히 뻗어내린 백두산일대의 지세를 외적들의 침입을 막아내는데 도움이 되는 천험의 요새, 금성탕지를 이루어 장성처럼 굳건하다고 노래하였다.

이와 같이 강희맹은 시 《백두산》에서 백두산의 웅장하고 신비하며 아름다운 모습을 시적으로 훌륭하게 형상하였다.

 

시는 기승전결의 흐름에 따라 풍부한 형상력으로 백두산이 가지고있는 장엄함과 신비함, 아름다움과 험준함 등 가지가지의 속성들을 노래하려고 하였다. 시는 백두산을 노래하면서 먼저 웅장한 그 자태를 노래한 다음 신비로운 경치에 대하여, 그다음에는 천지에 대하여 노래하고 마감에는 이 일대의 지세에 대하여 노래하였다.

 

시에서는 북변의 뭇산들중에 백두산이 우뚝 솟아있는 모습이나 사시장철 흰눈을 떠이고있는 모습 그리고 천지의 변화무쌍한 조화와 여기에 시원을 두고 흐르는 강, 천험의 요새를 이룬 주변일대의 지세 등을 세련되면서도 함축된 묘사로 노래하였다.

이처럼 시 《백두산》은 우리 나라의 관문으로 높이 솟은 천연요새인 백두산과 그 일대의 웅장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훌륭하게 형상하면서 아름다운 조국강산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노래한 강희맹의 대표작이라고 말할수 있다.

김일성종합대학 김희옥
facebook로 보내기
twitter로 보내기
cyworld
Reddit로 보내기
linkedin로 보내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