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등록 |  학생가입 
첫페지로 손전화홈페지열람기
 

민족악기-가야금

 

우리 나라의 고유한 민족악기인 가야금은 6세기 초엽에 존재하였던 가야국의 재능있는 음악가 우륵에 의하여 창안제작된 악기이다.

우륵이 창안제작한 가야금의 초기형태에 대해서는 8세기경에 일본에 전해져서 현재까지 정창원에 보존되고있는 《신라금》을 통하여 잘 알수 있다.

신라금은 12줄의 현악기로서 그 형태를 보면 복판(공명통), 양이두, 담괘, 기괘로 되여있는데 복판의 한쪽 면의 양이두에는 12줄을 련결한 부뜰줄이 매여있고 양이두의 반대쪽 면에는 12줄을 받친 담괘가 있다.

이러한 신라금의 형태가 우륵이 창안제작한 가야금의 초기형태와 같다는것은 일본사람이 쓴 《화한삼재도회》의 기록에 《신라금이 신라국으로부터 전해진 악기인데 12줄로 되여있다.》고 한 사실과 실학자 한치윤의 《해동역사》의 기록에 《신라금은 곧 우륵이 만든 가야금이 전해진것이다. 12줄로 되였는데 첫번째 줄인 무현으로부터 열두번째 줄인 5단음에 이르기까지 줄이 점차 가늘어지고 이에 따라 기괘의 높이도 역시 낮아졌다.》고 한 사실로써 확증된다.

그런데 신라금과 15세기말에 편찬된 《악학궤범》에 전하는 가야금이나 18세기 신윤복의 《풍속도》에 그려진 가야금을 비교해보면 꼭같은 12줄의 현악기로서 그 형태가 서로 같다. 이것은 6세기 초엽에 만든 가야금이 천수백년간 그 형태가 변하지 않았다는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가야금이 오랜 력사적기간 크게 달라짐이 없이 우리 인민의 사랑을 받은 특색있는 민족악기로 전해올수 있은것은 우륵이 창안한 가야금이 전통적인 슬과 쟁을 참작하여 우리 인민의 성음에 맞게 훌륭히 제작완성한데 기인된다.

 

facebook로 보내기
twitter로 보내기
cyworld
Reddit로 보내기
linkedin로 보내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