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의식성을 가진 존재, 의식적인 사회적존재이다.
△ 의식성의 본질
《의식성은 세계와 자기자신을 파악하고 개변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규제하는 사회적인간의 속성입니다.》
의식성은 세계와 자기자신을 파악하고 개변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규제하는 사회적인간의 속성이다.
의식성으로 하여 사람은 세계와 그 운동발전의 합법칙성을 파악하며 자연과 사회를 자기의 요구에 맞게 개조하고 발전시켜나간다.
자연과 사회, 자기자신을 인식하고 개조하는 모든 활동을 의식적으로 규제하는것은 사람의 고유한 속성이다.
세계와 자기자신을 파악하고 개변하기 위한 사람의 모든 활동은 본능에 따르는 맹목적인 활동이 아니라 의식적으로 조절통제되는 목적의식적인 활동이다.
사람은 자기의 생활적요구와 객관적조건을 타산한데 기초하여 미리 목적을 세우고 합리적인 수단과 방법을 적용하면서 의지와 열정을 가지고 주위세계를 개조변혁해나간다. 자기의 모든 활동을 의식적으로 조절통제한다는데 사람의 본질적속성이 있으며 그것이 다름아닌 사람이 가지는 의식성이다.
- 의식성은 세계와 자기자신을 파악하기 위한 활동을 규제하는 사람의 성질이다.
사람이 자기의 본성에 맞게 세계를 성과적으로 지배하고 개조하려면 무엇보다도 그와 관련한 사람자신의 요구와 리해관계 그리고 객관세계의 본질과 운동발전의 합법칙성을 알아야 한다. 사람의 활동의 목적은 주체인 사람자신의 자주적요구와 리익을 실현하는데 있으며 사람의 요구와 리익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의 대상은 객관세계이다.
그러므로 사람의 활동이 진행되는데서 사람자신의 요구와 리해관계, 객관적대상의 본질과 운동법칙을 파악하는것은 필수적인 계기, 공정으로 된다.
사람이 세계의 본질과 운동발전의 합법칙성을 파악하는 과정은 사물현상에 대한 수동적인 반영이 아니라 목적의식적이며 주동적인 활동과정이다. 사람은 자연과 사회의 사물현상들가운데서
이처럼 사람자신과 세계의 본질, 그 운동발전의 합법칙성을 파악하기 위한 인식활동을 규제하고 담보하는 성질이라는데 의식성의 본질적내용의 하나가 있다.
- 의식성은 자연과 사회를 자기의 요구에 맞게 개조변혁하기 위한 활동과정을 규제하는 사람의 성질이다.
사람은
사람은 자연과 사회를 개조변혁하기 위한 활동을 자기의 구상과 계획에 따라 진행한다. 사람은 생활의 요구와 현실적조건을 타산한데 기초하여 무엇을 개조하며 어떤 결과를 얻어내겠는가 하는 개조활동의 대상과 목표를 세운다. 그리고 실천활동에서 어떤 자료와 기재들을 사용하며 어떤 수법과 묘술을 적용하겠는가 하는 수단과 방법을 확정한다.
뿐아니라 사람은 실천활동의 전과정과 거기에서 나서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예견하면서 어떤 경로를 따라나가겠는가, 어떤 단계와 순차로 추진시켜나가겠는가 하는것을 타산한다.
사람은 자연과 사회를 개조변혁하기 위한 활동이 능동적으로 정확히 진행되도록
사람은 활동과정에 부닥치는 난관과 시련을 극복하고 계획된 실천활동을 끝까지 수행하여 활동목적을 성과적으로 실현해나가도록 조절통제한다.
실천활동을 진행해나가는 과정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반드시 난관과 시련이 있게 된다.
사람은 부닥치는 난관과 시련앞에 주저앉는것이 아니라 그것을 주동적으로 이겨내면서 이미 세워진 계획에 따라 활동이 일관하게 진행되도록 정신력, 의지적힘을 발휘해나간다. 그리하여 실천활동과정에 제기되는 문제들을 자기의 자주적요구와 리익에 맞게 주동적으로, 능동적으로 처리하면서 자연과 사회를 개조변혁하는 활동이 성과적으로 진행되도록 목적의식적으로 활동한다.
이처럼 자연과 사회를 자기의 요구에 맞게 개조변혁하기 위한 실천활동을 규제하고 담보하는 성질이라는데 의식성의 본질적내용의 다른 하나가 있다.
△ 의식성의 표현
의식성은 사람이 의식을 가지고 의식적인 활동을 하는데서 표현된다. 사람이 의식성을 가지고있다는것은 곧 의식을 가지고있으며 의식적인 활동을 한다는것이다.
의식은 사람의 육체적기관가운데서도 가장 발전된 기관인 뇌수의 고급한 기능으로서 사람의 모든 활동을 지휘하고 조절통제한다.
- 사람의 뇌수는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사람의 뇌수는 육체적기관들의 활동을 관할하는 기능, 생리적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뇌수는 사람의 육체를 이루고있는 모든 조직들과 기관들이 통일되여 전일적으로 작용하고 육체와 외부환경과의 련계가 원만히 실현되도록 한다. 사람의 육체적생명활동을 관할하는 뇌수의 기능, 생리적기능은 다른 생명물질들에도 있는 공통적인 기능이다.
• 사람의 뇌수는 사람에게만 고유한 사회적활동을 지휘하는 고급한 기능, 의식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은 사회적존재로서 세계와 자기자신을 파악하고 개조하기 위한 사회적활동을 진행한다. 사람의 이러한 사회적활동도 물질대사와 같은 육체적생명활동과 마찬가지로 뇌수의 지휘밑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람의 사회적활동에 대한 뇌수의 지휘기능은 뇌수의 생리적기능과 꼭같은것이 결코 아니며 그와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고급한 기능이다. 사람의 사회적활동을 지휘하는 뇌수의 고급한 기능이라는데 바로 의식의 본질이 있다. 사람의 뇌수의 의식기능에 의하여 사람의 모든 사회적활동, 목적의식적인 인식활동과 실천활동이 보장된다.
- 의식의 구분
사람의 의식은 크게 사상의식과 지식으로 구분할수 있다.
사상의식이 사람의 요구와 리해관계를 반영한 의식이라면 지식은 객관세계의 사물현상의 본질과 그 운동발전의 합법칙성을 반영한 의식이다.
사상의식은 지식의 형성과 작용방향을 규제한다. 한편 과학지식은 옳바른 사상의식을 가질수 있는 전제, 기초이다.
△ 사람의 의식가운데서 기본
의식의 중요한 내용을 이루는 사상의식과 지식가운데서 기본은 사상의식이다.
- 그것은 사상의식이 사람의 가치와 품격을 규정하는 결정적요인이기때문이다.
사람의 가치와 품격은 사람이 사회를 위하여 얼마나 귀중한 존재이며 사회적존재로서 얼마나 고상한 도덕품성과 인격을 소유하고있는가 다시말하여 사회적존재로서의 풍모와 자질을 어떻게 갖추고있는가 하는것이다.
사람의 가치와 품격을 평가하는 중요한 징표는 사람이 생활의 목적을 어디에 두고 그것을 위하여 어떻게 투쟁하는가, 그 실현을 위한 사람의 능력은 어떠한가 하는것이며 이것은 바로 사상의식에 의하여 규정된다.
사람은 어떤 사상의식을 가졌는가 하는데 따라 사회와 집단, 당과
- 사상의식이 사람의 모든 활동을 규제하는 결정적요인이기때문이다.
사람의 활동은 활동목적을 옳바로 내세우고 정확한 방향에서 진행될 때 그리고 확고한 신념과 강의한 의지, 완강한 투쟁력을 발휘할 때 성과적으로 진행될수 있다.
사람의 활동의 성격, 사람이 활동의 목적을 어디에 두고 어떤 방향에서 얼마나 강의한 의지와 투쟁력을 발휘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가 하는것은 사람의 요구와 리해관계를 반영한 사상의식에 의하여 규정된다.
사상의식은 지식과 물질기술적수단 등 사람의 활동에 작용하는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의 작용도 규제한다.
사람이
우리 당, 조선로동당이 언제나
사상의식의 결정적역할이자 곧 정신력의 결정적역할이다.
정신력은 본질에 있어서 사상정신적힘 다시말하여 자기 운명을 자기 손에 틀어쥐고 제힘으로 개척해나가려는 인민대중의 투철한 자주정신, 신념과 의지의 힘이다.
정신력이 사상의 힘이라고 하여 아무런 사상의 힘이 다 정신력으로 되는것은 아니다. 정신력은 자주적인 사상의 힘, 자주정신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자주적인 신념과 의지의 힘을 말한다.
사람의 정신력은 우선 자주적인 사상의식이 확고한 신념으로 전환된 의식, 다시말하여 자기 운명의 주인은 자기자신이며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힘도 자기자신에게 있다는 확고한 믿음이다.
사람의 정신력은 또한 자주적인 사상의식이 강한 의지로 전환된 의식, 다시말하여 자기 운명을 자기 손에 틀어쥐고 제힘으로 끝까지 개척해나가려는 불굴의 투쟁정신이다.
주체철학에 의하여 사람이 자주성, 창조성과 함께 의식성을 자기의 본질적특성으로 하고있다는것이 새롭게 밝혀짐으로써 사람에 대한 완성된 철학적해명이 주어지고 독창적인 사람중심의 세계관이 확립될수 있었다.